신문기사를 읽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다. 언론에서는 이제 과거만큼 한자를 많이 사용하는 건 아니지만 종종 한자를 쓰곤한다. 최근에는 캐나다를 한자로 쓴 기사를 봤고, 기왕 이렇게 된 거 한번 싹 정리해보려고 한다. 일단 매일경제를 통해 얻은 퍼블릭시티를 사용했다 GPT도 좋지만 이용권을 얻었으니 잘 사용 해야겠지 답변은 아래와 같다
한국 신문에서는 국가명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한자 약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주요 국가들의 한자 약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美國): 美 (미)
2. 대한민국(大韓民國): 韓 (한)
3. 중국(中國): 中 (중)
4. 일본(日本): 日 (일)
5. 영국(英國): 英 (영)
6. 프랑스(佛蘭西): 佛 (불)
7. 독일(獨逸): 獨 (독)
8. 러시아(露西亞): 露 (노)
9. 캐나다(加那陀): 加 (가)
10. 호주(濠洲): 濠 (호)
11. 이탈리아(伊太利): 伊 (이)
12. 스페인(西班牙): 西 (서)
13. 베트남(越南): 越 (월)
14. 인도(印度): 印 (인)
15. 인도네시아(印度尼西亞): 印尼 (인니)
이러한 한자 약어는 주로 신문의 머리기사나 두 국가 이상을 병렬하여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1][3]. 예를 들어, '한미 관계'나 '한일전' 등의 표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약어는 두 글자로 나타내기도 합니다[2].
한글 전용을 표방하는 일부 언론사들은 이러한 한자 약어 사용을 지양하고 있지만, 많은 언론사들이 여전히 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7]. 이는 간결성과 전통적인 표기 방식을 유지하려는 경향 때문입니다.
Sources
[1] [왜 미국(美國)일까?]중국어 발음 '메이궈', 한국어식으로 읽은 것 https://www.jjan.kr/article/20180118630528
[2] 나라 이름의 약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82%98%EB%9D%BC_%EC%9D%B4%EB%A6%84%EC%9D%98_%EC%95%BD%EC%B9%AD
[3] 뉴스기사의 나라이름 한자 약어 정리 - Gdeed https://gooddeed.thevandis.com/entry/country-name-in-Chinese-character
[4] USA가 미국(美國)으로 번역된 이유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2mmC/5
[5] 나라 이름의 한자 표기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82%98%EB%9D%BC_%EC%9D%B4%EB%A6%84%EC%9D%98_%ED%95%9C%EC%9E%90_%ED%91%9C%EA%B8%B0_%EB%AA%A9%EB%A1%9D
[6] 우리가 잘 모르는 나라 미국(米國) - 매일노동뉴스 http://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481
[7] 토막 한자 못 버리는 언론들, 게으른 글쓰기의 전형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11019n37402
[8] 미국은 왜 아름다운 나라가 되었나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305060300035
특이하게도 복사 붙여넣기를 하면 이렇게 출처까지 함께 복사 된다. 참 좋은 기능이다. 이번 포스팅은 상당히 유용한 정보를알게 된 공부였다
'경제신문읽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 읽자고! 갈라파고스란? (0) | 2025.04.08 |
---|---|
헌정 사상 2번째… (1) | 2025.04.05 |
매일경제 X 퍼플렉시티 프로, 매경/e신문 독자라면 퍼플렉시티(perplexity) 프로 1년 이용권 받아가세요. (1) | 2025.03.19 |
경제신문을 읽다가...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 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이 대체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울까? (0) | 2025.03.17 |
서울 공시지가 8%인상? 보유세는 어떻게 되는거지? (0) | 2025.03.14 |
125c5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