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읽자고

경제신문 읽자고! 갈라파고스란?

by 125c5 2025. 4. 8.
반응형

오늘의 매일경제 신문에서 본 용어인 '갈라파고스'를 한 번 공부해보자.

매일경제 4월 8일 기사

기사 내용이야 뭐 스킵하고, 초반에 나오는 단락에 대해 적어본다. 

한국은 엄격한 규제 때문에 핀테크의 '갈라파고스' 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갈라파고스는 무슨 뜻일까? 내가 기억하기로는 생물학, 진화학쪽에 연관되어 있는 단어로 알고있는데... 맞나 모르겠다. 정확하게 알지 못하니 모르는 거라고 봐야겠다.

 


"갈라파고스(Galápagos)"라는 말은 원래 남아메리카 에콰도르 서쪽에 있는 갈라파고스 제도를 뜻하지만, 시사용어나 경제·사회 용어로 쓸 때는 **‘고립된 독자적 생태계나 시스템’**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갈라파고스화 현상(Galápagos syndrome)"**이라는 말이 자주 쓰입니다.


📌 갈라파고스화 현상 (Galápagos Syndrome)

정의:
어떤 나라나 기업이 외부와의 교류 없이 자국 시장에만 맞춰 제품·서비스·제도 등을 지나치게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결과, 세계적인 기준이나 트렌드와는 동떨어지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어원적 배경:
찰스 다윈이 진화론을 연구한 장소인 갈라파고스 제도처럼,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각자도생식으로 진화한 생태계에서 유래한 개념입니다.


🧭 주로 쓰이는 사례들

  • 일본의 전자기기 시장:
    일본은 자국 내에서는 첨단 기술이 접목된 독특한 휴대폰이 유행했지만, 해외시장에서는 통하지 않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는 실패한 사례들이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갈라파고스형 제품의 예로 종종 인용됩니다.
  • 한국의 노동시장, 교육제도 등:
    외부 기준이나 글로벌 표준과 비교해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특이하게 구조화된 정책이나 시스템들이 갈라파고스적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을 때 이 표현이 쓰입니다.

✅ 시사적 의미

‘갈라파고스’는 글로벌 기준과의 괴리, 또는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부족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기술·산업·정책 등이 폐쇄적으로 발전해 국제적 호환성이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필요하면 한국 정치나 제도에서 갈라파고스화된 사례들도 들어줄 수 있어요. 원할까?

좋아! 그럼 한국에서 갈라파고스화됐다고 평가받는 제도나 분야 몇 가지 예를 간단히 들어볼게.


🇰🇷 한국의 갈라파고스형 제도/사례

1. 노동시장 제도

  • 정규직 vs 비정규직 이중구조가 너무 고착화되어 있음.
  • 정규직은 과도한 보호를 받고, 비정규직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함.
  • 국제적으로 유연한 고용 시스템으로 전환이 논의되는 가운데, 한국은 경직된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 외국에서는 “고용 유연성과 사회 안전망 강화”로 가는 반면, 한국은 이원화된 구조가 고착됨.

2. 입시 제도

  • 수능, 내신, 논술, 학생부종합전형 등 다양한 제도가 혼재돼 있음.
  • 외국에 비해 지나치게 복잡하고 정보비대칭도 심각함.
  • 교육정책이 정권마다 달라져서 오히려 글로벌 기준과 괴리됨.
    → “입시 갈라파고스”라는 말도 실제 언론에서 쓰임.

3. 공인인증서와 보안 프로그램

  • 한동안 ActiveX, 공인인증서, 보안프로그램 다중설치 등이 고착화되어
    외국인이나 해외 시스템과 호환이 거의 불가능했음.
  • 최근에서야 개선됐지만 오랫동안 폐쇄적 시스템이 유지됨.

4. 통신요금제와 휴대폰 정책

  • 지원금 규제, 공시지원금·선택약정 등의 제도가 복잡하고 국내에만 있는 규제 체계였음.
  • 이로 인해 해외 브랜드나 요금제 모델과의 호환이나 비교가 어려움.

5. 부동산 거래 시스템

  • 전세 제도는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제도로,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함.
  • 전세금 반환 문제 등도 전형적인 갈라파고스화된 구조라는 지적이 있음.

필요하면 각 사례를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줄 수도 있어. 어떤 게 더 궁금해?

 


흐릿하게나마 알고있던 갈라파고스라는 뜻은 자국 시장 보호를 위해 폐쇄적인 정책을 펴다보면 발생하는 경쟁력 약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면 되겠다. 기사에서 말하는 핀테크 관련하여 한국이 갈라파고스화 되어 있다는 말이 바로 한국의 규제 때문이라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단적으로 지금 애플페이도 수 년째 못들어오고 있는 걸 보면 어느정도 고개가 끄덕여지는 것 같다.

역시 어렴풋하게 알고 있는 내용은 모르는 거라고 보면 된다. ㅋㅋㅋㅋㅋㅋ 이렇게 공부해 가야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