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신문은 캐즘 이라는 단어에서 시작한다.
![](https://blog.kakaocdn.net/dn/EDQjd/btsMc0fxb0n/VGwLgTSZKQBAgVfoyJK1e1/img.jpg)
전기차 수요 둔화 등 캐즘 우려, 라는 소제목이 보인다. 그렇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ㅋㅋㅋ 일단 이번에도 ai시대의 리더, GPT형님의 도움을 받아본다.
**캐즘(Chasm)**은 기술 제품이나 혁신적인 서비스가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넘어야 하는 **큰 격차(단절)**를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1. 캐즘(Chasm) 개념
• 원래 지질학적 의미로 “깊은 틈, 협곡”을 뜻하지만,
• **마케팅과 기술 확산(Technology Adoption)**에서 신제품이 초기 시장에서 대중 시장으로 넘어갈 때 발생하는 단절을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됨.
• **제프리 무어(Geoffrey Moore)**가 그의 저서 Crossing the Chasm (1991)에서 개념화함.
2. 기술 수용 주기(Technology Adoption Lifecycle)
캐즘 이론은 신기술이나 혁신 제품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눕니다:
1. 혁신가(Innovators) – 2.5%
• 신기술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모험적인 사람들
• 실패를 감수하고도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는 성향이 강함
2. 초기 수용자(Early Adopters) – 13.5%
• 기술 트렌드에 민감하고, 남들보다 먼저 제품을 사용해 보는 그룹
•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갖추려는 성향이 강함
3. (⚠️캐즘, 단절 발생)
• 초기 시장(혁신가 + 초기 수용자)에서 대중 시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격차(캐즘)가 발생
• 이 단계를 넘지 못하면 신제품이 시장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음
4. 초기 대중(Early Majority) – 34%
• 기술이 충분히 검증된 후 수용하는 신중한 소비자 그룹
• 실용성과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함
5. 후기 대중(Late Majority) – 34%
• 시장에서 기술이 표준화된 후에야 받아들이는 보수적인 그룹
•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야 신뢰하고 구매함
6. 지각 수용자(Laggards) – 16%
• 새로운 기술을 가장 늦게 받아들이는 그룹
•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고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음
3. 캐즘을 극복하는 전략
• 틈새시장(Target Market) 집중: 초기 대중(Early Majority)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특정 시장을 공략
• 레퍼런스 확보: 성공 사례와 후기를 만들어 신뢰도를 높임
• 강력한 유통망 구축: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통 채널을 확보
• 브랜드 신뢰 구축: 초기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제품을 개선하고 신뢰도를 높임
4. 캐즘의 실제 예시
• 성공 사례: 아이폰(초기 수용자들이 열광한 후 대중 시장으로 확산)
• 실패 사례: 구글 글래스(초기 혁신가와 얼리어답터는 관심을 가졌지만, 대중 시장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실패)
5. 결론
캐즘 개념은 스타트업, IT 기업, 혁신적인 신제품이 시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는지 이해하는 중요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많은 기술이 초기 수용자들의 관심을 끌지만, 대중 시장으로 넘어가는 캐즘을 극복하지 못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전기차의 대중화 과정에서 발생한 판매량 감소를 간결하게 표현하고자 용어를 사용했다고 보면 되겠다.
그나저나 전기차의 인기가 식었다고 한다. 생산중단이라니 대단한 상황이다. 심지어 테슬라를 포함해도 2023년 대비 27.9% 판매 감소라면 상당히 큰 폭인데…
사실 작년에 차를 바꾸면서 전기차도 고려했다. 결국 선택은 다른 내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내연기관이지만ㅋㅋㅋ 선택의 이유는 전기차 운용에서 누릴 엄청나게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의 수준에 대한 아쉬움이 가장 컸달까?ㅎㅎ
항상 산업이라는 게 비슷한 리듬으로 움직이는 것 같다. 어떤 이유로 각광받고 스타가 된 후에 비슷한 이유로 경쟁자들이 중구난방 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은 전체 파이가 커지기보다는 점유율경쟁. 한단계 점프할 모멘텀이 없다면 모두가 죽는. ㅋㅋㅋ
과연 전기차 인기는 다시 돌아올까? 1등만, 테슬라만 살아남는 건 아닐까?
'경제신문읽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경제신문읽기 - 가짜노동 (1) | 2025.02.10 |
---|---|
경제신문읽기 4일차. (2) | 2025.02.07 |
경제신문 읽기. 러스트벨트 (RUST BELT)란? (2) | 2025.02.06 |
금융지주 보통주 자본(CET1) 비율이란? (2) | 2025.02.05 |
경제신문 지면구독과 Chat GPT 활용하기 (3) | 2025.02.04 |